오늘 공부할 주제 JSTL 문법이란? Github 코드 보기 1. 글 목록 디자인 및 JSTL 사용하기 이제 만들 글들을 홈페이지의 화면에 리스트화 시킬 것이다. 기존의 디자인에서 조금 수정을 하였다. // index.jsp ${board.title} ${board.content} 카테고리 | ${board.createTime} 제목과 내용을 클릭하면 해당 글상세로 넘어갈 수 있도록 링크를 걸어준다. 제목, 내용, 작성 시간은 Controller로 부터 받아서 표현해주도록 하겠다. 먼저 jsp페이지에서 jstl문법을 사용하면 forEach를 이용한 반복문 구현이 가능하다. 이 코드는 반복할 객체명을 items로 설정해주고 ${}으로 감싸서 java클래스로 부터 받을 수 있도록한다. 그리고 객체를 boar..
Handler란? Spring 프레임워크에서 Handler는 HTTP 요청을 처리하는 컴포넌트이다. HTTP 요청이 들어오면 Spring MVC 프레임워크는 DispatcherServlet을 통해 요청을 처리하는데 이 때, 요청을 처리할 Handler를 찾아 요청을 전달하게 된다. Handler는 요청을 처리하고, 적절한 모델과 뷰를 반환하며 @Controller 또는 @RestController 어노테이션으로 표시된 클래스의 메서드로 정의될 수 있다. 1. Handler의 역할 요청 매핑 Handler는 @RequestMapping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어떤 URL 패턴에 응답해야 하는지 정의할 수 있다. 파라미터 바인딩 Handler는 요청 파라미터를 메서드 파라미터로 바인딩할 수 있는데, 이 과정에..
오늘 공부할 주제 RestAPI란? Javascript를 사용하는 이유 Github 코드 보기 1. 회원가입 페이지 만들기 먼저 index.jsp파일을 복사하여 views 하위의 user폴더에 joinForm.jsp을 생성한다. 그리고 w3cschools.com에서 마음에 드는 폼을 가져와서 커스텀 한다. 아직 controller를 안만들었기에 VS를 이용하여 간이로 디자인을 확인한다. 깔끔하게 레이아웃 설정이 완료되었고, username, password, email 정도만 Client로부터 입력 받으면 될 듯하다. 이 때 회원가입 navbar의 href주소를 "/auth/joinForm"으로 설정하여 회원가입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최신화된 css가 있으면 기존에 프로젝트에 추가한 styl..
오늘 공부할 주제 JSP란? Controller와 RestController의 차이 Repository의 역할 Github 코드 보기 1. view와 resource폴더 만들기 yml 파일을 보면 spring.mvc.view.prefix는 /WEB-INF/views/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springboot는 view에 해당하는 파일들을 기본설정인 webapp + prefix로 설정되며 suffix는 .jsp 이기에 최종적인 경로는 webapp/WEB-INF/views/ + @ /이름.jsp 로 설정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래서 Spring boot 프로젝트에는 webapp폴더가 없기 때문에 main폴더 하위에 webapp폴더를 만든 후 왼쪽의 사진과 같이 폴더를 만들어준다. 또한 html파일의 구조를 i..